제12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수요의 탄력성
1. 수요의 가격탄력성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란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을 말한다.
- 가격이 변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이다.

1) 최초의 값을 기준으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계산할 경우에는 최초의 가격과 최초의 수요량을 사용한다.

2) 중간점을 기준으로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계산할 경우에는 평균가격과 평균수요량을 사용한다.

2.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유형
가격의 변화율과 수요량의 변화율 |
가격탄력성의 유형 |
가격탄력성의 크기 |
곡선의 형태 |
가격의 변화율 = 수요량의 변화율 |
단위탄력적 |
Ed = 1 |
직각쌍곡선 |
가격의 변화율 < 수요량의 변화율 |
탄력적 |
1 < Ed < ∞ |
기울기 완만 |
가격의 변화율 > 수요량의 변화율 |
비탄력적 |
0 < Ed < 1 |
기울기 급 |
가격의 변화율 = 0 |
완전탄력적 |
Ed = ∞ |
수평 |
수요량의 변화율 = 0 |
완전비탄력적 |
Ed = 0 |
수직 |
3.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기울기
1)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클수록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작을수록 기울기가 급해진다.
2) 즉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클수록 가격의 변화에 대해 수요량의 변화가 크다는 의미이다.
4.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대체재의 존재 유무 : 대체재가 많을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이다.
2) 일반재화와 부동산
(1) 일반재화에 비하여 부동산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2) 부동산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나 지역별ㆍ용도별로 세분할수록 탄력적이 된다.
3) 주거용 부동산과 상ㆍ공업용 부동산
(1) 주거용 부동산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상ㆍ공업용 부동산 보다는 탄력적이다.
4) 기간
(1) 단기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며, 장기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이다.
(2) 이는 부동산의 공급이 단기에는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에 기인한다.
5) 용도의 다양성
- 부동산의 용도가 다양할수록 수요의가격탄력성은 더 탄력적이다.
6) 용도전환
- 부동산의 용도전환이 용이할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더 탄력적이다.
7) 사치품과 생필품
- 사치품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더 탄력적이다.
5.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기업의 총수입과의 관계
- 소비자들의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크기에 따라 가격을 차별화함으로써 기업은 총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1) 탄력적 : 가격이 상승할 경우 → 총수입 감소, 가격이 하락할 경우 → 총수입 증가
2) 비탄력적 : 가격이 상승할 경우 → 총수입 증가, 가격이 하락할 경우 → 총수입 감소
3) 단위탄력적 : 가격이 상승할 경우 → 총수입 불변, 가격이 하락할 경우 → 총수입 불변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이라는 의미는 가격이 상승할 때 수요량의 감소가 크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가격이 상승할수록 수요량이 감소가 크므로 기업의 총수입은 감소한다.
6. 수요의 소득탄력성
- 소득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을 말한다.

1) 수요의 소득탄력성을 통하여 그 재화가 정상재인지 열등재인지 구분할 수 있다.
(1) 수요의 소득탄력성의 값이 양(+)일 경우(소득수준 증가 ⇒ 수요 증가) 그 재화는 정상재이다.
(2) 수요의 소득탄력성의 값이 음(-)일 경우(소득수준 증가 ⇒ 수요 감소) 그 재화는 열등재이다.
7. 수요의 교차탄력성
- A재화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B재화 수요량의 변화율을 말한다.

1) 수요의 교차탄력성을 통하여 두 재화가 대체재인, 보완재인지를 구별할 수있다.
(1) 교차탄력성의 값이 양(+)일 경우(빌라의 가격 상승 ⇒ 아파트의 수요 증가) 두 재화는 대체재이다.
(2) 교차탄력성의 값이 음(-)일 경우(커피의 가격 상승 ⇒ 설탕의 수요 감소) 두 재화는 보완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