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7 2025-11-22

제13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공급의 탄력성

제14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탄력성의 크기에 따른 균형의 변화

제15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 가격이론 - 거미집 이론



제14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탄력성의 크기에 따른 균형의 변화

1. 가격탄력성의 크기에 따른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의 변화

  -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가격은 적게 변하고, 양은 많이 변한다.

  -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가격은 많이 변하고, 양은 적게 변한다.

 

 

2. 공급이 증가할 경우


  1)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균형가격은 적게 하락하나, 균형거래량은 많이 증가한다.

 

  2)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균형가격은 많이 하락하나, 균형거래량은 적게 증가한다.

 

  3)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탄력적이라면 균형가격은 변화가 없지만,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4)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완전비탄력적이라면 균형가격은 하락하지만, 균형거래량은 변화가 없다.

 

 

1. 공급이 증가하여 공급곡선이 S1에서 S2로 이동할 경우

 

2. 수요의 곡선이 탄력적일수록(D1)

   - 균형가격(P)은 적게 하락한다.

   - 균형거래량(Q)은 많이 증가한다.

 

3. 수요의 곡선이 비탄력적일수록(D2)

   - 균형가격(P)은 많이 하락한다.

   - 균형거래량(Q)은 적게 증가한다.

 

 

  

1. 공급이 증가하여 공급곡선이 S1에서 S2로 이동할 경우

 

2. 수요의 곡선이 완전탄력적이라면(수평)(D3)

   - 균형가격(P)은 변화가 없다.

   - 균형거래량(Q)은 증가한다.

 

3. 수요의 곡선이 완전비탄력적이라면(D4)

   - 균형가격(P)은 하락한다.

   - 균형거래량(Q)은 변화가 없다.



3. 수요가 증가할 경우


  1)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균형가격은 적게 상승하나, 균형거래량은 많이 증가한다.

 

  2)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균형가격은 많이 상승하나, 균형거래량은 적게 증가한다.

 

  3)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완전탄력적이라면 균형가격은 변화가 없지만,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4)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완전비탄력적이라면 균형가격은 상승하지만, 균형거래량은 변화가 없다.

 

 

1.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곡선이 D1에서 D2로 이동할 경우

 

2. 공급의 곡선이 탄력적일수록(S1)

   - 균형가격(P)은 적게 상승한다.

   - 균형거래량(Q)은 많이 증가한다.

 

3. 공급의 곡선이 비탄력적일수록(S2)

   - 균형가격(P)은 많이 상승한다.

   - 균형거래량(Q)은 적게 증가한다.

 

 

  

1.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곡선이 D1에서 D2로 이동할 경우

 

2. 공급의 곡선이 완전탄력적이라면(수평)(S3)

   - 균형가격(P)은 변화가 없다.

   - 균형거래량(Q)은 증가한다.

 

3. 공급의 곡선이 완전비탄력적이라면(S4)

   - 균형가격(P)은 상승한다.

   - 균형거래량(Q)은 변화가 없다.



4.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가격과의 관계

  - 수요나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가격은 적게 변하고, 비탄력적일수록 가격은 많이 변한다.

 

  1) 탄력성과 기울기의 절대값

     (1) 수요나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은 작아진다.(기울기 완만)

     (2) 수요나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기울기의 절대값은 커진다.(기울기 급격)

 

  2) 탄력성과 조세의 전가 및 귀착

     (1) 수요와 공급 중 상대적으로 탄력적일수록 조세전가에 따른 귀착분이 적다

     (2) 수요와 공급 중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일수록 조세전가에 따른 귀착분이 많다.

     (3) 따라서 수요와 공급 중 상대적으로 탄력적일수록 적게 부담하고, 비탄력적일수록 많이 부담한다.

 

  3)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총수입

     (1)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가격을 낮추는 저가정책이 유리하다.

     (2)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수록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가격을 높이는 고가정책이 유리한다.

     (3) 따라서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저가정책, 비탄력적일수록 고가정책을 통하여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총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3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공급의 탄력성

제14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탄력성의 크기에 따른 균형의 변화

제15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 가격이론 - 거미집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