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1 2025-11-22

제53강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관리

제54강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유지활동 및 건물의 생애주기

제55강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마케팅 - 부동산 마케팅 및 광고



제54강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유지활동 및 건물의 생애주기

1. 부동산 유지활동

  - 대상부동산의 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막고, 계속적으로 임차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적정 수준의 유지활동을 하여야 한다. 부동산 유지활동에는 일상적 유지활동, 예방적 유지활동, 대응적 유지활동 등이 있다. 이러한 유지활동 중에서도 예방적 유지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 일상적 유지활동

   - 통상적으로 늘 수행하는 정기적인 유지활동을 말한다.

 

  2) 예방적 유지활동

   - 수립된 유지계획에의하여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이를 교환하고 수리하는 사전적 유지활동

 

  3) 대응적 유지활동

   - 문제가 발생하고 난 후 이에 대처하는 사후적 유지활동



2. 부동산 임대차 활동

 

  1) 임차인의 선정기준

    (1) 주거용 부동산 : 유대성, 연대성

    (2) 상업용 부동산 : 가능 매상고

    (3) 사무용, 공업용 부동산 : 적합성

 

  2) 임대차계약의 유형

    (1) 조임대차 

      - 순임대료와 영업경비를 포함하여 총임대료를 지불하는 임대차계약으로 주거용부동산에 주로 적용

    (2) 순임대차

      - 순임대료만을 지불하고 영업경비는 임대인과의 협의에 의하는 임대차계약으로 공업용부동산에 주로 적용

    (3) 비율임대차

      - 매출액의 일정비율을 임대료로 지불하는 임대차계약으로 매장용부동산에 주로 적용

 

 

3. 건물의 생애주기

 

  1) 건물의 내용연수 : 일반적으로 건물의 수명을 말한다.

    (1) 물리적 내용연수

      - 건물의 이용으로 생기는 마멸이나 파손 등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버팀 연수

    (2) 가능적 내용연수

      - 건물이 기능적으로 유효한 기간

    (3) 경제적 내용연수

      - 경제적 수명이 다하기까지의 버팀 연수

 

  2) 건물의 생애주기

   - 건물이 토지상에서 배타적 공간으로서 지니는 일생을 말한다.

    (1) 전 개발단계

      - 건물을 신축하기 전 용지상태에 있는 단계로 용지상태에서 신축계획을 수립한다.

    (2) 신축단계

      - 건물이 새로 태어나는 단계로 건물의 물리적ㆍ기능적 유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3) 안정단계

      ① 건물이 제 기능을 발휘하며 본격적으로 운영ㆍ이용되고 장기적으로 안정되는 단계.

      ② 건물이 존속하는 기간 중 가장 장기간에 이르며, 경제적 유용성도 가장 높게 나타난다.

      ③ 자본적 지출을 행하는 것이 유익한 단계로 구조의 일부를 개조ㆍ수선하는 활동이 필요하다.

    (4) 노후단계

      - 건물이 물리적으로 노후화 되는 단계로 유지ㆍ보수비용 지출을 억제한다.

    (5) 완전폐물단계

      - 물리적ㆍ경제적으로 쓸모가 없어지는 단계로 건물의 교체를 전제로 전 개발단계를 향해 일이 전개된다.

 

  3) 생애주기비용

    (1) 생애주기비용은 건물의 유용성에 비하여 적게 드는 것이 유리하다.

    (2) 생애주기비용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관리유지비용이다.

    (3) 관리유지비용이 적게 드는 건물을 신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4)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하여 초기투자비와 관리유지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보유기간 동안 효과적으로 총비용을 관리할 수 있다.

 

제53강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관리

제54강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유지활동 및 건물의 생애주기

제55강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마케팅 - 부동산 마케팅 및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