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무효와 취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
. 대리권 없는 乙이 甲을 대리하여 丙에게 甲소유의 토지를 매도하였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3
. 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4
. 다음 중 무효가 아닌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5
. 조건부 법률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6
. 불공정한 법률행위(민법 제104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7
. 다음 중 서로 잘못 짝지어진 것은?
8
. 甲은 자신의 X부동산을 乙에게 매도하고 계약금과 중도금을 지급받았다. 그 후 丙이 甲의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하여 甲과 X부동산에 대한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자신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다. 다음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9
. 착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0
. 전세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1
. 지역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2
. 점유자와 회복자의 관계 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3
. 점유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4
. 지상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5
. 물권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6
. 甲은 3/5, 乙은 2/5의 지분으로 X토지를 공유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7
. 甲은 자신의 토지와 그 지상건물 중 건물만을 乙에게 매도하고 건물 철거 등의 약정 없이 건물의 소유권이전등기를 해 주었다. 乙은 이 건물을 다시 丙에게 매도하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주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8
. 부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19
. 저당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0
. 상린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1
. 유치권의 소멸사유가 아닌 것은?
22
. 후순위 근저당권자의 신청으로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가 이루어진 경우, 확정되지 않은 선순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이 확정되는 시기는?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3
. 甲은 乙과의 계약에 따라 乙소유의 구분건물 201호, 202호 전체를 수리하는 공사를 완료하였지만, 乙이 공사대금을 지급하지 않자 甲이 201호만을 점유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4
. 계약의 성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5
. 甲은 자신의 X건물을 乙에게 임대하였고, 乙은 甲의 동의 없이 X건물에 대한 임차권을 丙에게 양도하였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6
. 제3자를 위한 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7
. 부동산매매계약이 수량지정매매인데, 그 부동산의 실제면적이 계약면적에 미치지못한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8
.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29
. 계약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0
. 甲은 자신의 X건물을 乙소유 Y토지와 서로 교환하기로 합의하면서 가액차이로 발생한 보충금의 지급에 갈음하여 Y토지에 설정된 저당권의 피담보채무를 이행인수하기로 약정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31
. 계약금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32
. 이행지체로 인한 계약의 해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33
. 매매의 일방예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34
. 甲이 2017.2.10 乙소유의 X상가건물을 乙로부터 보증금 10억원에 임차하여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요건을 갖추고 영업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35
. 甲은 乙의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는 丙소유의 X주택을 丙으로부터 보증금 2억원에 임차하여 즉시 대항요건을 갖추고 확정일자를 받아 거주하고 있다. 그 후 丁이 X주택에 저당권을 취득한 다음 저당권실행을 위한 경매에서 戊가 X주택의 소유권을 취득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36
. 甲은 조세포탈ㆍ강제집행의 면탈 또는 법령상 제한의 회피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배우자 乙과의 명의신탁약정에 따라 자신의 X토지를 乙명의로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쳐주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37
. 甲은 乙에게 빌려준 1,000만원을 담보하기 위해 乙소유의 X토지(시가 1억원)에 가등기를 마친 다음, 丙이 X토지에 대해 저당권을 취득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38
.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구분소유자의 5분의 4 이상 및 의결권의 5분의 4 이상의 결의가 있어야만 하는 경우는?
39
. 선순위 담보권 등이 없는 주택에 대해 대항요건과 확정일자를 갖춘 임대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수고하셨습니다. 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