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0 2025-11-23
사뿐
17
.
마샬(A.Marshall)의 준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은?
17
.
마샬(A.Marshall)의 준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은?
①
한계생산이론에 입각하여 리카도(D.Ricado)의 지대론을 재편성한 이론이다.
①
한계생산이론에 입각하여 리카도(D.Ricado)의 지대론을 재편성한 이론이다.
②
준지대는 생산을 위하여 사람이 만든 기계나 기구들로부터 얻는 소득이다.
②
준지대는 생산을 위하여 사람이 만든 기계나 기구들로부터 얻는 소득이다.
③
토지에 대한 개량공사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소득은 준지대에 속한다.
③
토지에 대한 개량공사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소득은 준지대에 속한다.
④
고정생산요소의 공급량은 단기적으로 변동하지 않으므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준지대는 고정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④
고정생산요소의 공급량은 단기적으로 변동하지 않으므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준지대는 고정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
⑤
준지대는 토지 이외의 고정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으로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영구적으로 지대의 성격을 가지는 소득이다.
⑤
준지대는 토지 이외의 고정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으로서,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영구적으로 지대의 성격을 가지는 소득이다.
토지는 공급량이 고정되어 있는 반면, 토지 이외의 고정생산요소들은 그 공급량이 장기적으로 얼마든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지 이외의 고정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은 단기에 있어서는 지대의 성격을 가지지만, 장기에 있어서는 해당 생산요소의 공급량 및 이와 결부된 생산량을 변화시키는 배후의 요인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비용의 성격을 가진다. 이런 이유로 토지 이외의 고정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을 마샬은 준지대라고 불렀다.
제출
이전
목록
다음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