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8 2025-11-23
사뿐
16
.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은?
16
.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은?
①
해리스(C.Harris)와 울만(E.Ullman)의 다핵이론에서는 상호편익을 가져다주는 활동(들)의 집적지향성(집적이익)을 다핵입지 발생 요인 중 하나로 본다.
①
해리스(C.Harris)와 울만(E.Ullman)의 다핵이론에서는 상호편익을 가져다주는 활동(들)의 집적지향성(집적이익)을 다핵입지 발생 요인 중 하나로 본다.
다핵심이론의 의의 및 주요내용
(1) 동심원이론과 선형이론을 결합하여 도시 내부의 토지이용 패턴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2) 도시가 성장하면서 여러 개의 전문화된 핵심이 형성되고 도시는 복수의 핵심주변에서 발달한다.
②
알론소(W.Alonso)의 입찰지대곡선은 여러 개의 지대곡선 중 가장 높은 부분을 연결한 포락선이다.
②
알론소(W.Alonso)의 입찰지대곡선은 여러 개의 지대곡선 중 가장 높은 부분을 연결한 포락선이다.
알로소(W.Alonso)의 입찰지대설
- 단위면적의 토지에 대해 이용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금액으로 초과이윤이 0이 되는 수준의 지대
- 튀넨의 고립국이론을 도시공간에 적용하여 발전시킨 것으로 수송비는 도심으로 멀어질수록 증가하며, 재화의 평균생산비용은 동일하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1) 입찰지대곡선이란 입지주체가 거리에 따라 지불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지대를 연결한 곡선을 말한다.
(2) 생산요소 간의 대체가 일어날 경우, 일반적으로 입찰지대곡선은 우하향 한다.
(3) 가장 높은 지대를 지불할 의사가 있는 용도에 따라 토지 이용이 이루어진다.
(4) 최대의 지불능력을 가지고 있는 이용자에게 그 토지는 할당된다.
(5) 입찰지대곡선의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가파른 업종일수록 중심지에 가까이 입지하려 한다.
③
헤이그(R.Haig)의 마찰비용이론에서는 교통비와 지대를 마찰비용으로 본다.
③
헤이그(R.Haig)의 마찰비용이론에서는 교통비와 지대를 마찰비용으로 본다.
헤이그의 마찰비용이론
- 중심지로부터 멀어질수록 교통비는 증가하고 지대는 감소한다.
- 교통수단이 좋을수록 공간의 마찰은 적어지며, 토지이용자는 마찰비용으로 교통비와 지대를 지불한다.
- 도시토지의 지가는 마찰비용에 따라 달라진다.
④
리카도(D.Ricardo)의 차액지대설에서는 지대 발생 원인을 농토의 비옥도에 따른 농작물 수확량의 차이로 파악한다.
④
리카도(D.Ricardo)의 차액지대설에서는 지대 발생 원인을 농토의 비옥도에 따른 농작물 수확량의 차이로 파악한다.
리카도(Ricardo)의 차액지대설
- 토지의 비옥도의 차이 및 비옥한 토지의 한정, 수확체감의 법칙의 작용을 지대 발생 원인으로 본다.
(1) 지대는 한계지를 기준으로 하여 이보다 생산력이 높은 토지에 대한 대가를 말한다.
(2) 한계지란 최열등지라고도 하며, 경작되고 있는 토지가운데 생산성이 가장 낮은 토지를 말한다.
(3) 한계지에서는 생산물의 가격과 생산비가 일치하므로 지대가 발생하지 않는다.
(4) 지대는 생산비의 일부가 아니라 불로소득(잉여)이다.
(5) 지대는 토지생산물 가격의 구성요인이 되지 않으며 될 수도 없다.
(6) 토지의 위치문제를 경시하였으며, 한계지에서는 지대발생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⑤
마샬(A.Marshall)은 일시적으로 토지의 성격을 가지는 기계, 기구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파레토지대로 정의하였다.
⑤
마샬(A.Marshall)은 일시적으로 토지의 성격을 가지는 기계, 기구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파레토지대로 정의하였다.
마샬(A. Marshall)의 준지대설
- 한계생산이론에 입각하여 리카도의 차액지대설을 재편성한 이론이다.
- 준지대란 공장설비등과 같이 단기적으로 고정된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를 말한다.
(1) 준지대는 단기적으로 생산요소의 공급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지대이다.
(2) 토지 이외에 고정된 생산요소에 귀속되는 소득은 단기적으로는 지대, 장기적으로는 비용의 성격을 지닌다.
(3) 토지에 대한 개량공사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일시적인 소득은 준지대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4) 장기에는 고정된 생산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준지대도 장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파레토의 경제지대설
- 토지뿐만 아니라 노동이나 기계설비처럼 공급의 희소성이 있는 모든 상품에는 지대가 발생한다.
- 공급의 희소성이 클수록, 즉 공급이 비탄력적일수록 경제지대는 커진다.
(1) 전용수입이란 어떤 생산요소가 다른 용도 전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급해야 하는 최소한의 금액이다.
(2) 경제지대란 생산요소가 실제로 얻고 있는 수입에서 전용수입을 초과하는 부분으로 생산자 잉여이다.
(3) 총수입은 일정하는 가정하에 전용수입이 클수록 경제지대는 작아지며, 전용수입이 작을수록 경제지대는 커진다. 이러한 전용수입과 경제지대의 크기는 공급의 탄력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4) 토지의 물리적 공급은 완전비탄력적이므로 토지로부터 얻는 수입은 경제지대가 된다.
제출
이전
목록
다음
정답
복구
복습
복구
해설
닫기
좌측
중앙
우측
기본
해설은 유료서비스입니다.
결제페이지로 이동하기
해설
닫기
이전
목록
다음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