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수요와 공급의 균형

제13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공급의 탄력성

제15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 가격이론 - 거미집 이론

1. 공급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이란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율을 말한다.

  - 가격이 변할 때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이다.


  1) 최초의 값을 기준으로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계산할 경우 최초의 가격과 최초의 공급량을 사용한다.


  2) 중간점을 기준으로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계산할 경우 평균가격과 평균공급량을 사용한다.

 


2.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유형

 

 가격의 변화율과 공급량의 변화율

 가격탄력성의 유형

 가격탄력성의 크기

 곡선의 형태

가격의 변화율 = 공급량의 변화율

단위탄력적

 Es = 1

원점을 통과하는 직선

가격의 변화율 < 공급량의 변화율

탄력적

 1 < Es < ∞

기울기 완만

가격의 변화율 > 공급량의 변화율

비탄력적

 0 < Es < 1

기울기 급

가격의 변화율 = 0

완전탄력적

 Es = ∞

수평

공급량의 변화율 = 0 

완전비탄력적

 Es = 0

수직

 

 

3.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기울기


  1)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진다.

 

  2)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값 사이에는 반비례의 관계가 성립된다.

 

 

4.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일반재화와 부동산

    - 일반재화에 비하여 부동산의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2) 기간

    1) 장기적으로는 신규공급이 가능하여, 가격이 상승할 경우 단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공급량은 많이 증가한다.

    2) 따라서 단기일수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 장기일수록 탄력적이다.

 

  3) 용도전환

    - 용도전환이 용이할수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이다.

 

  4) 용도변경을 제한하는 법규

    - 법규가 많을수록 부동산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5) 건축 인ㆍ허가

    - 건축 인ㆍ허가가 용이할수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이다.

 

  6) 기존주택 공급과 신규주택공급

    - 기존주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이나, 신규주택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7)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

    -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수록 부동산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8) 생산량을 증가시킬 경우 생산요소의 가격

    - 생산요소의 가격이 상승할수록 부동산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9) 토지의 물리적 공급은 완전비탄력적이다.

 

844 2025-11-22

제11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수요와 공급의 균형

제13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공급의 탄력성

제15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 가격이론 - 거미집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