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공급의 탄력성

제15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 가격이론 - 거미집 이론

제16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경기변동 - 부동산 경기변동

1. 거미집 이론의 의의


  1) 거미집 이론은 공급의 시차를 이용하여 시장균형의 동태적 안정성을 설명하려 한 동태이론이다.

 

  2) 농산물이나 부동산처럼 공급의 시차가 존재하는 상품에 적용할 수 있다.

 

 

2. 거미집 이론의 가정


  1) 수요는 금기(今期)의 가격을 즉시 반영한다. 따라서 현재 시점의 가격에 의해 현재 시점의 수요량이 결정된다.

 

  2) 공급은 전기(前期)의 가격을 반영한다. 따라서 지난 시점의 가격에 의해 현재 시점의 공급량이 결정된다.

 

  3) 금기(今期)에 생산된 물량은 금기(今期)에 모두 판매되어 재고량은 존재하지 않는다.

 

 

3. 거미집이론의 유형


  1) 수렴형 : (수탄수로 암기:요의 탄력성이 공급의 력성보다 크면 렴형)

    - 수요가 공급보다 더 탄력적일 때 충격이 가해지면 새로운 균형으로 수렴한다. 시장균형이 안정적인 유형이다.

     (1)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공급의 가격탄력성보다 상대적으로 클 경우

     (2)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공급곡선의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할 경우

     (3)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이 공급곡선의 기울기값보다 작은 경우


  2) 발산형

    - 공급이 수요보다 더 탄력적일 때 충격이 가해지면 균형으로부터 이탈한다. 시장균형이 불안정적인 유형이다.

     (1)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수요의 가격탄력성보다 상대적으로 클 경우

     (2) 공급곡선의 기울기가 수요곡선의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할 경우

     (3) 공급곡선의 기울기값이 수요곡선의 기울기 절대값보다 작은 경우


  3) 순환형

   -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같을 때 충격이 가해지면 계속 순환한다.

   - 시장균형이 중립적인 유형이다.

     (1)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같은 경우

     (2) 수요곡선의 기울기 절대값과 공급곡선의 기울기값이 같은 경우

 수렴형

수요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값

 발산형

수요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값

 순환형

수요의 가격탄력성 = 공급의 가격탄력성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대값 =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값

 

 

4. 부동산 경기와 거미집 이론


  1) 부동산 경기변동에의 적용

     (1) 공급자가 현재의 시장가격에만 반응한다면 부동산 시장은 주기적으로 초과수요와 초과공급을 반복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 시간적 갭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2) 단기적으로 가격이 급등하게 되면 건물 착공량은 증가하게 되고, 공급물량이 시장에 출하되게 되면 오히려 초과공급이 되어 침체국면에 접어든다는 것이다.

     (3) 주거용보다는 상업용이나 공업용 부동산에 더 강하게 나타난다.

 

  2) 공급자가 미래의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여 공급량을 조절한다면 이러한 거미집모형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1037 2025-11-22

제13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공급의 탄력성

제15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 가격이론 - 거미집 이론

제16강 부동산 경제론 - 부동산의 경기변동 - 부동산 경기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