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지대 및 지가이론

제21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도시공간구조이론

제22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입지론의 의의

1. 버제스의 동심원이론


  1) 동심원이론의 의의 및 주요내용

    (1) 1920년대 미국의 시카고 시를 대상으로 한 도시공간구조이론으로,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최초의 연구이다.

    (2) 거주지 분화현상의 연구를 통하여 도시팽창이 도시내부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3) 도시의 공간구조를 도시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고, 침입, 경쟁, 천이라는 생태학적 과정으로 설명한다.

    (4) 동심원의 형태로 중심업무지구, 천이지대, 저소득층 주거지대, 고소득층 주거지대, 통근자지대 등 5개의 동심원지대로 분화되면서 도시가 성장한다는 이론이다.

    (5) 동심원의 형태로 여러 개의 농업지대가 형성된다는 튀넨의 고립국이론을 응용한 것이다.

    (6) 도심에서 멀어질수록 접근성이나 지대 등이 낮아지고 범죄나 빈곤 등의 도시문제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2) 동심원이론의 문제점

    (1) 토지이용의 형태를 지나치게 단순화 하였으며 도시공간구조에 대한 일반성이 결여되었다.

    (2) 수송비가 도심에서 각 방향으로 같을 수가 없으므로 현실의 토지이용은 동심원 구조가될 수 없다.

    (3) 도시는 교통망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2. 호이트의 선형이론


  1) 선형이론의 의의와 주요내용

    (1) 호이트가 동심원이론을 보완하고 수정하여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지역분화를 설명하고 있다.

    (2) 중심업무지구로부터 도매ㆍ경공업지구, 저급주택지구, 중급주택지구, 고급주택지구가 주요 교통노선에 따라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되면서 배치된다는 이론이다.

    (3) 고급주택지구는 기존의 도심지역과 주요 교통노선을 축으로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서 선형으로 발전한다.

    (4) 저급주택지구는 도심주변이나 도매ㆍ경공업지구 인근지역에서 선형으로 발전한다.

    (5) 중급주택지구는 고급주택지구와 저급주택지구 사이에서 선형으로 발전한다.

    (6) 도시주거공간의 유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주택가격의 지불능력이다.

    (7) 상류층은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주거입지를 선정하는 경향이 있다.

    (8) 교통의 발달, 소득의 증가 등은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이다.

 

  2) 선형이론의 문제점

    (1) 고소득계층의 고급주택지구를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

    (2) 사회적ㆍ문화적인 토지이용의 제약요인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3) 단순히 과거의 경향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도시성장의 추세를 분석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

 

 

3. 다핵심이론


  1) 다핵심이론의 의의 및 주요내용

    (1) 동심원이론과 선형이론을 결합하여 도시 내부의 토지이용 패턴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2) 도시가 성장하면서 여러 개의 전문화된 핵심이 형성되고 도시는 복수의 핵심주변에서 발달한다.

 

  2) 도시의 다핵화 요인

    (1) 특정 활동은 전문화된 시설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러한 시설이 집중된 곳에 모이게 된다.

    (2) 유사한 활동은 집적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모이게 된다.

    (3) 이질적인 활동은 상호 간의 이해가 상반되므로 모이면 불리하게 된다.

    (4) 특정 활동은 도심지가 유리하나 지대가지나치게 높아 지불할 능력이 없으므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다.

 

  3) 다핵심이론의 평가

    (1) 동심원이론, 선형이론, 다핵심이론 등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다.

    (2) 구도시가 단핵도시의 형태라면 신도시의 경우는 다핵도시의 형태이다.

    (3) 대도시 내부의 토지이용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890 2025-11-23

제20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지대 및 지가이론

제21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도시공간구조이론

제22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입지론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