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지대 및 지가이론

제22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입지론의 의의

제25강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상업입지이론

1. 입지와 입지선정


  1) 입지

    - 입지란 어떠한 경제주체가 차지하고 있는 장소를 말한다.

    - 입지조건이란 입지주체가 입지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로 하는 자연적ㆍ인문적인 제 조건을 말한다.

    (1) 자연조건이란 지형, 지질, 지세, 기후, 강수 등으로 인간의 힘으로 극복하고 통제하기 어려운 것이다.

    (2) 인문조건이란 도로, 항만, 철도 등 인간의 힘으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2) 입지선정

    - 입지선정이란 입지주체가 입지조건을 갖춘 토지를 발견하는 것으로 주변의 이용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경제적 위치와 부지 자체의 물리적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 주거지역은 쾌적성과 편리성, 상업지역은 수익성, 공업지역과 농업지역은 생산성 등을 기준으로 한다.

 

  3) 입지론과 적지론

    (1) 입지론 : 주어진 용도에 가장 적합한 토지를 결정하는 것

    (2) 적지론 : 주어진 토지에 가장 적합한 용도를 결정하는 것

 

  4) 입지선정활동의 중요성

    (1) 입지조건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입지조건을 보다 유리하게 변환시키기 어렵다.

    (2) 입지선정이 잘못되면 토지이용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3) 주위환경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주위환경과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4) 최대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최유효이용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5) 비가역성의 특성으로 장기적인 배려를 고려한 입지선정이 요구된다.

    (6) 입지차이로 인해서 상품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 입지경쟁

 

  1) 입지잉여의 의의

    - 입지잉여란 입지조건이 양호한 경우 발생하는 특별한 이익, 즉 초과이윤을 말한다.

    - 입지잉여는 입지조건이 양호해서 발생한 것이므로 입지주체의 경영능력과는 무관하다.

    - 입지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지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입지잉여는 동일할 수 없다.

 

  2) 입지잉여의 발생

    - 어떤 토지의 위치의 가치가 한계입지 이상이고, 최유효이용할 수 있는 입지주체가 이용하는 경우 발생한다.

    - 한계입지란 그 산업의 관점에서 입지잉여가 0이 되는 위치를 말한다.

    - 입지잉여는 입지경쟁의 원인으로 지대상승을 초래하며, 지대의 지불능력을 높여준다.

 

893 2025-11-23

제20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지대 및 지가이론

제22강 부동산 시장론 -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입지론의 의의

제25강 부동산 입지 및 공간구조론 - 상업입지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