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4강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이론 - 포트폴리오 이론

제39강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 금융

제41강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담보대출의 상환방식 및 최대 대출가능금액 산정

1. 부동산 금융의 의의

 

  1) 주택의 구입을 용이하게 하거나 공급을 확대하게 하는 특수금융

 

  2) 부동산을 운용대상으로 하여 자본을 조달하는 일련의 과정

 

 

2. 부동산 금융의 종류

 

  1) 토지 금융과 주택금융

    - 주택금융이 부동산 금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 자본조달방식에 따른 종류(지분금융과 부채금융)

    (1) 지분금융 : 지분이나 주식발행으로 자기자본을 조달

      ① 부동산 신디케이트 : 여러 명의 투자자가 부동산 전문가의 경험을 동원하여 공동의 프로젝트를 수행

      ② 조인트 벤쳐 : 특정목적의 부동산 벤처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공동벤처회사

      ③ 부동산투자신탁(REITs) : 지분권을 판매하여 부동산에 투자하고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회사

      ④ 부동산펀드 : 부동산투자목적의 특수목적회사를 통한 자본조달방법

    (2) 부채금융 : 타인자본의 조달

      ① 저당금융 : 부동산에 저당을 설정하고 직접 대출을 받는 방식

      ② 신탁금융 : 담보신탁을 통해 대출을 받는 방법

      ③ 주택상환사채 : 주택법에 의하여 사업시행자가 발행하는 채권

      ④ 자산담보부증권 :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자산을 담보로 발행

      ⑤ 프로젝트파이낸싱 : 사업 자체의 수익성과 사업자산을 담보로 융자를 받거나 회사채를 발행

 

 

3. 주택금융

 

  1) 주택금융의 의의

    (1) 주택소비금융 : 주택의 실수요자, 즉 소비자 금융이라고도 한다.

    (2) 주택개발금융 : 주택건설 촉진을 목적으로 건설업자에 대한 자금 지원, 공급자 금융

 

  2) 주택금융의 필요성

    (1) 주택의 고가성

    (2) 주거서비스의 적정한 소비

 

  3) 주택금융의 기능

    (1) 주택거래의 활성화

    (2) 자가주택 소유 확대에 기여

    (3) 저축유도와 주택자금 조성

    (4) 주택시장기구를 조절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주택시장의 작동을 원활하게 한다.

    (5) 주택경기의 부양이나 안정을 유도하여, 경기조절의 기능도 수행한다.

    (6) 주택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기여한다.

 

603 2025-11-22

제34강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 투자이론 - 포트폴리오 이론

제39강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부동산 금융

제41강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 주택담보대출의 상환방식 및 최대 대출가능금액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