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6 2025-11-23
사뿐
Q
.
부동산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은?(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Q
.
부동산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
은?(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준강성 효율적 시장은 공표된 것이건 그렇지 않은 것이건 어떠한 정보도 이미 가치에 반영되어 있는 시장이다.
①
준강성 효율적 시장은 공표된 것이건 그렇지 않은 것이건 어떠한 정보도 이미 가치에 반영되어 있는 시장이다.
강성 효율적 시장
- 과거 및 현재의 정보뿐만 아니라 미래의 정보까지도 지체 없이 가격에 반영되는 시장을 말한다.
(1) 어떠한 경우에도 초과이윤의 획득은 불가능하다.
(2) 모든 정보가 반영된 시장이므로 효율성의 정도가가장 뛰어나 진정한 의미의 효율적 시장이라 할 수 있다.
(3) 완전경쟁시장의 가정에 부합되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4) 부동산 시장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유형이다.
준강성 효율적 시장
- 과거의 정보와 현재의 정보가 지체 없이 가격에 반영되는 시장을 말한다.
(1) 과거의 정보와 현재의 정보를 통하여 정상이윤의 획득은 가능하나 초과이윤의 획득은 불가능하다.
(2) 현재의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을 기본적 분석이라고 한다.
(3) 반영되지 않은 미래의 정보를 분석하면 초과이윤의 획득이 가능하다.
(4) 초과이윤을 얻기 위해서는 미래의 정보가 필요하므로 정보비용을 수반하게 된다.
(5) 부동산 시장은 준강성 효율적 시장까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②
부동산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은 가격형성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②
부동산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은 가격형성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정보의 비대칭성
- 거래 당사자들 사이에 정보수준의 차이가 존재하여 부동산 거래질서가 문란해질 수 있다.
- 정보의 비대칭성은 역선택과 도덕적 해이를 초래하기도 한다.
③
부동산시장에서 기술의 개발로 부동산 공급이 증가하는 경우,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을수록 균형가격의 하락폭은 커진다.
③
부동산시장에서 기술의 개발로 부동산 공급이 증가하는 경우,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을수록 균형가격의 하락폭은 커진다.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가격과의 관계
- 수요나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수록 가격은 적게 변하고, 비탄력적일수록 가격은 많이 변한다.
④
일반적으로 부동산은 일반재화에 비해 거래비용이 많이 들고, 부동산이용의 비가역적 특성 때문에 일반재화에 비해 의사결정지원분야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④
일반적으로 부동산은 일반재화에 비해 거래비용이 많이 들고, 부동산이용의 비가역적 특성 때문에 일반재화에 비해 의사결정지원분야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비가역성
: 부동산 문제가 한번 악화되면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기가 어려워지는 현상
(1) 지표의 토층을 파괴한 경우 인위적으로 환원하기가 어렵다.
(2) 지가가 폭등한 경우 폭등한 지가수준에 의해서 경제상태가 형성되며, 과거의 수준으로 되돌리기가 어렵다.
(3) 건물을 잘못 신축한 경우 다시 철거한다는 것은 경제적으로 어렵다.
⑤
부동산은 다양한 공ㆍ사적 제한이 존재하며, 이는 부동산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⑤
부동산은 다양한 공ㆍ사적 제한이 존재하며, 이는 부동산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출
이전
목록
다음
정답
복구
복습
복구
해설
닫기
좌측
중앙
우측
기본
해설은 유료서비스입니다.
결제페이지로 이동하기
해설
닫기
이전
목록
다음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