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3 2025-11-23
사뿐
Q
.
다음 자금조달 방법 중 지분금융(equity financing)에
해당하는 것
은?
Q
.
다음 자금조달 방법 중 지분금융(equity financing)에
해당하는 것
은?
①
주택상환사채
①
주택상환사채
(주택상환사채의 발행)
①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등록사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택으로 상환하는 사채("주택상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등록사업자는 자본금ㆍ자산평가액 및 기술인력 등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고 금융기관 또는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보증을 받은 경우에만 주택상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② 주택상환사채를 발행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택상환사채발행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③ 주택상환사채의 발행요건 및 상환기간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②
신탁증서금융
②
신탁증서금융
③
부동산투자회사(REITs)
③
부동산투자회사(REITs)
리츠 [REITs :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대출, 유가증권 등에 투자하고 발생하는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당하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의 주식회사 또는 투자 신탁으로, 부동산 뮤추얼펀드라고도 한다. 주로 부동산 개발사업, 임대, 주택저당채권 등에 투자하여 수익을 올리며, 만기는 3년 이상이 대부분이다.
리츠는 설립 형태에 따라 회사형과 신탁형으로 구분된다. 회사형은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으는 형태로 투자자에게 일정기간을 단위로 배당을 하며 증권시장에 상장할 수 있다. 신탁형은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으는 형태로 상장이 금지되어 있다.
리츠는 주식처럼 100만원, 200만원의 소액으로도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어 일반인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증권화가 가능하여 증권시장에 상장하여 언제든지 팔 수 있다. 또한 부동산이라는 실물자산에 투자하여 가격이 안정적이고 리스크가 적은 편이다. 가치상승에 의한 이익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가격상승에 따른 수입증가분의 분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리츠는 안정적인 간접투자상품과 자산유동화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 일반부동산투자회사와 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CR-REITs)로 분류된다. 일반 REITs는 상법상 주식회사로 부동산 간접투자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 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는 서류상의 회사(Paper Company)로 기업의 구조조정용 부동산을 투자대상으로 함으로써 자산유동화를 통한 기업의 구조조정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④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④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자산담보부 기업어음 [ABCP: Asset-Backed Commercial Paper]
자산담보부 CP(Commercial Paper)로 CP발행을 위한 특수기구(conduit)를 이용하여 발행하는 자산담보부 기업어음을 말한다. 기업어음이란 원래 기업의 신용만으로 담보없이 발행된 약속어음인데 무담보어음이라는 점에서 어음을 발행하는 입장에서는 유리하나, 상대기업 및 은행의 경우에는 채무불이행시 갖는 위험에 근본적으로 봉착하게 되므로 기업어음에 담보를 설정함으로써 신용상태를 보다 확충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⑤
주택저당채권담보부채권(MBB)
⑤
주택저당채권담보부채권(MBB)
"주택저당채권담보부채권"
이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택저당채권을 담보로 하여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주택저당채권"
이란 주택(「소득세법」에 따른 고가주택의 기준에 해당하는 주택은 제외한다.)에 설정된 저당권(근저당권을 포함한다.)에 의하여 담보된 채권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대출자금에 대한 채권을 말한다.
가. 해당 주택의 구입 또는 건축에 들어간 대출자금[주택의 구입 및 건축에 들어간 자금을 보전(補塡)하기 위한 대출자금을 포함한다]
나. 가목의 대출자금을 상환하기 위한 대출자금
제출
이전
목록
없음
정답
복구
복습
복구
해설
닫기
좌측
중앙
우측
기본
해설은 유료서비스입니다.
결제페이지로 이동하기
해설
닫기
이전
목록
없음
Close